지식여정

갑근세란? 갑종근로소득세 계산법 초간단 정리

슬로우Do 2022. 4. 28.

갑근세

근로소득세의 한 종류인 갑근세라는 단어 들어보셨습니까? 갑근세는 '갑종 근로소득세'의 줄임말로 불리는데 근로소득세는 통상 일한 대가로 받는 정기적인 월급과 일당에 대한 세금을 말하는 것이지요.

 

근로소득세를 크게 둘로 나눠보면, 갑종근로소득세와 을종 근로소득세가 있습니다.

먼저 을종근로소득세란 외국 회사 또는 기관, 재외 외국인으로부터 받는 급여를 뜻합니다. 그래서 우리나라 대부분의 근로자들은 오늘 살펴볼 '갑종 근로소득세'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갑종 근로소득세란 근로의 대가로 받는 월급, 상여금, 보너스, 수당 등의 근로 수익에 대한 세금을 통칭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예전에는 많이들 쓰는 용어였지만, 지금은 법 개정 때문에 갑종과 을종의 구분을 없애고 포괄적으로 '근로소득세'라고 통칭하게 되었습니다.

 

 

갑근세 계산방법

근로소득세와 주민세는 보통 갑근세율에 따라 그 값이 달라집니다. 갑근세율은 각자의 소득에 맞춰 결정이 되며 여기서의 각자 소득이란 것은 과세에 해당하는 소득을 의미하는 겁니다.

또, 부양가족이 몇명이냐에 따라서 세액이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갑근세 계산방법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그냥 잘 보시고 따라오시길 바랍니다. 정리는 아래 별도로 해두겠습니다. 

갑근세는 결정세액을 1년(12개월)로 나눈 값이고, 결정세액은 과세표준 적용 산출세액에서 근로소득세액공제를 뺀 금액입니다. 과세표준은 근로소득금액에 인적공제금액과 연금보험료 공제액, 특별소득공제액을 각자 뺀 나머지 금액이고 근로소득금액은 1년 총급여액에 근로소득공제액을 뺀 값입니다.

용어가 많이 생소하겠지만, 용어 정리와 함께 각 용어의 기준 구분하여 잘 설명드리겠습니다.

 

1. 연간 총 급여액

'비과세 소득을 제외한 월 급여액의 중간값 X 12개월'이 연간 총 급여액이 됩니다.

 

2. 근로소득공제액

연간 총 급여액 기준으로 아래와 같이 계산하시면 됩니다.

  • 500만원 이하: 총급여액의 70%
  • 500만원 초과 1,500만 원 이하: 350만원+(500만원 초과금액 X 40%)
  • 1,500만 원 초과 4,500만 원 이하: 750만 원+(1,500만 원 초과금액 X 15%)
  • 4,500만 원 초과 1억 원 이하: 1,200만원+(4,500만원 초과금액 X 5%)
  • 1억 원 초과: 1,475만 원+(1억 원 초과금액 X 2%)

 

 

3. 과세표준액

통상 과세표준액은 근로소득금액에서 소득공제 항목을 뺀 금액을 말합니다.

그리고 소득공제항목은 인적공제와 연금보험료 공제, 특별소득공제로 나뉘게 됩니다.

 

  • 소득공제 항목-기본공제: 공제대상 가족 1인당 150만 원 공제
  • 소득공제 항목-연금보험료공제: 연간 총급여액 X 4.5% (월급여액이 국민연금 기준 소득의 월 액수가 최소 290,000원 이하인 경우에는 156,600원 책정/4,490,000원 이상인 경우에는 2,424,600원으로 책정)

 

 

특별소득공제

아래 표를 참고해주십시오.

특별소득공제 공제대상자별 기준

 

 

4. 결정세액

산출세액에서 근로소득세액공제를 뺀 금액입니다.

먼저 산출세액을 알아보기 위해서 갑근세율의 과세표준을 넣어보겠습니다.

 

갑근세율 기준

 

 

근로소득세액공제

산출세액 50만원 이하일 경우에는 산출세액의 55%로 책정

산출세액 50만원 초과일 경우에는 275,000원+500,000원을 초과하는 금액의 30%를 각각 책정합니다.

*참고로 근로소득세액공제는 총 급여액 5,500만 원 이하일 경우 66만 원 / 5,500만 초과 7,000만 이하는 63만 원 / 7,000만 초과 시에는 50만 원이 각각 공제됩니다.

 

 

 

 

5. 갑근세 계산

이제 갑근세 계산을 해보면 어렵지 않으실겁니다.

결정세액을 12개월로 나누는 거였죠. 선택한 납입 방식에 따라 80%, 100%, 120%의 금액을 매월 원천징수 형태로 납입하는 갑근세이기에 80% 선택 시에는 연말정산 환급액이 줄어들거나 늘어날 수 있고 120%를 선택하는 경우 연말 정산 환급액이 증가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댓글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