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정부에서 마스크 착용의무가 해제되었다. 물론 사회적 거리두기를 다급히 조정하면서 야외에서만 일단 마스크 해제령을 내린 것이긴 하지만, 이마저도 지난 몇 년 세계를 괴롭혔던 팬데믹 속에서는 조금이라도 숨통을 틔울 수 있을 것 같다. 비교적 실내보다 감염의 위험도가 낮은 야외에서 만큼이라도 마스크해제를 하게 된 것에 감사하다고만 생각해야 할까? 양날의 검일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정부는 지난 5월 2일부터 실외에서 마스크 착용을 해제시켰다.
코로나19 유행이 다소 감소추세에 접어들었고, 상가나 공공기관 등의 방역, 의료 상황도 안정적인 상태에 돌입하게 되었기 때문이라는 정부의 생각이었다. 마스크 착용에 대한 기준은 간단히 말하면 두 가지이다.
자신이 발 딛고 있는 곳이 외부냐, 내부냐에 따라 갈리는데 외부일 경우에는 '마스크 해제 기준'에 적용되어 마스크를 쓰지 않아도 되는 것이고, 내부일 경우에는 '마스크 착용 방역지침'에 따라 현행유지를 해야한다는 내용이다.
- 외부일 경우, 마스크 해제 기준을 적용하여 마스크 해제를 할 수 있다.
- 내부일 경우, 마스크 착용 방역지침에 따라 마스크 착용을 해야 한다.
우선 마스크 해제는 우리 일상에 먼저 영향력을 끼칠 것 같다.
버스나 대중교통을 이용하며 출퇴근을 하는 직장인들에게는 희소식이 될 수도 있고, 결혼식을 계속 미룬 예비신랑과 신부에게도, 좋은 날 아이를 데리고 간 놀이공원에서마저도 가족 전체가 마스크를 쓰지 않아도 제재를 받지 않게 되었다.
마스크 해제 착용기준
정부는 우선 50명 이상의 규모에 대한 단체집회나 행사에 대한 제재를 할 예정이라고 한다.
참 아이러니 하지만, 결혼식은 마스크 해제를 인정하면서 또 50명 이상은 안된다고 하니 헷갈리시는 분들도 있으실텐데, 어디까지나 정부에서 발표한 마스크 해제 착용기준은 '의무'가 아닌 것이다.
해도 되고 안해도 되고 개인의 선택이라는 점이고, 아래의 기준에 따라 써야 할 때는 반드시 써야 한다.
마스크를 써야 할 때(적극권고)
우리의 일상생활이 너무나도 포괄적이고 광범위한 것이 사실이라 모든 상황을 규정 한 줄로 규제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래서 조금 더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서 필요한 사항들을 아래 나열해보고자 한다.
우선 버스나 비행기, 그 외 건축물 등의 사방이 외부와 분리된 구조물에서는 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 즉, 천장이 있는 곳에 서있다면 마스크를 써야한다는 말이다.
지하철이라고 마스크 해제를 하고 돌아다녀도 되는 걸까? 실내 지하철역의 경우에는 마스크를 반드시 써야하고 실외 승강장이 있다면 마스크 해제를 개인의 판단에 맡겨 벗을 수 있다.
카페는 어떨까? 대기줄이나 손님들과 손님들 사이 1m 거리가 나오지 않는 상황이라면 마스크 착용을 해야한다.
학교 체육시간이나 운동회에서는 운동장 같은 야외 활동일 경우, 마스크를 벗고 활동할 수 있으며 대신에 실내 체육관, 강당 같은 공간에서는 마스크 착용을 해야 한다.
- 천장과 지붕이 있는 사방이 외부와 분리된 구조물 또는 교통수단에서는 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
- 지하철역에서는 기본적으로 마스크 착용을 하고, 외부 승강장이 있는 경우 마스크 해제가 가능하다.(지하철 안에서는 당연히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 카페에서는 테라스 등을 이용하는 것과는 별개로 마스크 해제가 가능하지만 단, 손님들과 손님들 사이 1m거리가 되지 않을 경우에는 마스크 착용을 해야한다.
- 학교 체육시간, 수련회, 수학여행 등의 행사 때는 하늘이 보이는 야외일 경우 마스크 해제가 가능하며 실내 체육관, 강당 등의 실내 활동 시에는 마스크 착용을 해야 한다.
'지식여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졸 흙수저의 독서법 (0) | 2022.05.24 |
---|---|
영화같은 시네마틱 영상 만드는 법 10가지 (0) | 2022.05.18 |
2022년 근로장려금 신청방법, 신청기간, 지급일 (0) | 2022.04.29 |
갑근세란? 갑종근로소득세 계산법 초간단 정리 (0) | 2022.04.28 |
60세 이상 백신 4차 접종 시 꼭 알아야 할 사항 (0) | 2022.04.28 |
댓글